국도 제45호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도 제45호선은 충청남도 서산시 해미면에서 시작하여 경기도를 거쳐 가평군 청평면까지 이어지는 일반 국도이다. 1981년 해미 ~ 청평선으로 신설되었으며, 이후 여러 차례의 개통 및 확장 공사를 거쳐 현재의 노선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주요 경유지로는 충청남도 서산시, 예산군, 아산시, 경기도 평택시, 안성시, 용인시, 광주시, 하남시, 남양주시, 가평군 등이 있으며, 각 지역에서 다양한 국도 및 지방도와 교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도 제45호선 - 팔당대교
팔당대교는 사장교로 건설되려다 붕괴 사고와 부실 시공으로 공법이 변경되어 일반 거더교로 1995년 완공되었으나, 건설 과정에서 안전 불감증의 사례를 보여주었고 개통 후 교통 흐름 개선과 체증 유발이라는 상반된 결과를 낳았다. - 국도 제45호선 - 경춘로
경기도 구리시에서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까지 이어지는 경춘로는 1922년 개설 후 확장되어 2개 이상 시·도에 걸쳐 있는 도로로, 망우로와 직결되고 춘천로와 연결되며, 일부 구간에는 중앙버스전용차로가 운영된다. - 가평군의 교통 - 국도 제37호선
국도 제37호선은 경상남도 거창군에서 경기도 파주시까지 총 연장 405km에 걸쳐 6개 도를 연결하며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지만, 노선 변경에 따른 주민 불편과 일부 구간의 교통 혼잡 문제도 안고 있는 일반국도이다. - 가평군의 교통 - 서울양양고속도로
서울양양고속도로는 서울 강동구에서 강원 양양군을 잇는 약 151km의 고속도로로, 1997년 타당성 조사 후 2017년 전 구간 개통되었으며, 민자 및 국고 구간으로 나뉘고 대한민국 최장 터널인 인제양양터널을 포함하여 원톨링 시스템 도입 등 개선 사업이 진행 중이다. - 서산시의 교통 - 서해안고속도로
서해안고속도로는 전라남도 무안군에서 시작하여 서울특별시 금천구까지 연결되며, 1991년에 건설을 시작하여 2001년에 전 구간이 개통되었고 총 연장 340.81km이다. - 서산시의 교통 - 지방도 제609호선
충청남도 보령시에서 서산시까지 이어지는 지방도 제609호선은 총연장 59.0km이며, 2003년 노선 재지정 및 구간 공사를 거쳐 현재 보령시, 청양군, 홍성군, 예산군, 서산시를 경유한다.
국도 제45호선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노선 이름 | 서산 ~ 가평선 |
노선 번호 | 국도 제45호선 |
총 연장 | 202.6 km |
개통일 | 1981년 3월 14일 |
노선 정보 | |
기점 | 충청남도 서산시 해미면 |
주요 경유지 | 충청남도 서산시 충청남도 예산군 충청남도 아산시 경기도 평택시 경기도 안성시 경기도 용인시 경기도 광주시 경기도 남양주시 경기도 가평군 |
종점 | 경기도 가평군 청평면 |
주요 교차 도로 | |
고속도로 | 서해안고속도로 중부고속도로 평택제천고속도로 영동고속도로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
국도 | 국도 제1호선 국도 제3호선 국도 제6호선 국도 제21호선 국도 제29호선 국도 제32호선 국도 제34호선 국도 제37호선 국도 제38호선 국도 제39호선 국도 제40호선 국도 제42호선 국도 제43호선 국도 제46호선 |
국가지원지방도 | 국가지원지방도 제5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82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84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88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 |
2. 연혁
- 1981년 3월 14일 : '''국도 제45호선''' 해미 ~ 청평선 신설[5]
- 1981년 4월 6일 : 국도로 승격된 평택군 팽성읍 도계 ~ 남양주군 학도면 구암리 92.3 km 구간 개통[6]
- 1981년 4월 16일 : 국도로 승격된 서산군 해미면 읍내리 ~ 아산군 둔포면 둔포리 43.427 km 구간 개통[7]
- 1981년 5월 30일 : 대통령령 제10247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개정에 따라 신설된 126 km 구간으로 도로구역 결정[8]
- 1987년 7월 21일 : 아산군 둔포면 둔포리 880m 구간 개통, 기존 760m 구간 폐지[9]
- 1996년 7월 1일 : 기점을 '충청남도 서산군 해미면'에서 '충청남도 서산시 해미면'으로 변경함. 이에 따라 '서산 ~ 가평선'이 됨.[10]
- 1997년 9월 20일 : 예산군 삽교읍 삽교리 ~ 두리 860m 구간 개통, 기존 850m 구간 폐지[11]
- 1997년 12월 26일 : 광주 ~ 하남시계간 도로(광주군 광주읍 태전리 ~ 중부면 엄미리) 8.4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3.87 km 구간 폐지[12]
- 1997년 12월 31일 : 자연농원 ~ 광주간 도로(용인시 유방동 ~ 광주군 광주읍 태전리) 16.04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10.92 km 구간 폐지[13]
- 1998년 12월 31일 : 팔당대교 ~ 조안간 도로(남양주시 와부읍 팔당리 ~ 조안면 능내리) 3.925 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4.2 km 구간 폐지[14], 조안 ~ 양수간 도로(남양주시 조안면 능내리 ~ 양평군 양서면 용담리) 1.38 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구간 폐지[15]
- 2000년 4월 11일 : 둔포 ~ 평택간 도로(평택시 팽성읍 석근리 ~ 군문동) 6.46 km 구간 확장 개통[16]
- 2002년 12월 31일 : 충청남도 아산시 둔포면 둔포리 둔포 교차로 ~ 경기도 평택시 팽성읍 석근리 2.76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2.02 km 구간 폐지[17]
- 2004년 12월 31일 : 아산시 음봉면 원남리 ~ 둔포면 송용리 7.79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아산시 음봉면 원남리 ~ 둔포면 둔포리 총 3.43 km 구간 폐지[18], 이동 ~ 용인간 도로(안성시 양성면 이현리 ~ 용인시 마평동) 17.6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15.7 km 구간 폐지[19]
- 2005년 6월 3일 : 평택시 고덕면 동고리 ~ 안성시 양성면 이현리 19.97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21.21 km 구간 폐지[20]
- 2006년 12월 30일 : 해미 ~ 덕산간 도로(서산시 해미면 휴암리 ~ 예산군 덕산면 대치리) 11.91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서산시 해미면 산수리 1.004 km 구간과 서산시 해미면 대곡리 ~ 예산군 덕산면 광천리 4.689 km 구간 폐지[21]
- 2007년 12월 20일 : 덕산 ~ 예산간 도로(예산군 덕산면 대치리 ~ 예산읍 석양리 19.2 km 구간과 예산군 예산읍 관작리 ~ 궁평리 3.6 km) 총 22.8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예산군 덕산면 대치리 ~ 삽교읍 두리 11.7 km 구간과 예산군 오가면 좌방리 ~ 역탑리 총 2.0 km 구간 폐지[22]
- 2008년 1월 1일 : 아산 ~ 음봉간 도로(아산시 염치읍 석정리 ~ 음봉면 원남리) 7.6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총 3.58 km 구간 폐지[23]
- 2008년 11월 17일 : 예산군 삽교읍 송산리 ~ 덕산면 둔리 2.3 km 구간 개통 및 기존 구간 폐지[24]
- 2009년 7월 23일 : 남양주시 조안면 진중리 458m 구간 이설 개통, 기존 548m 구간 폐지[25]
- 2015년 7월 1일 : 배방 ~ 탕정간 도로(아산시 남동 ~ 탕정면 용두리) 4.9 km 구간 신설 개통[26]
- 2019년 12월 23일 : 염성 ~ 용두간 도로 개통으로 기존 아산시 시내 구간(아산시 신창면 읍내리 ~ 온천동 ~ 염치읍 석정리) 구간을 지정 해제하고 아산시 국도대체우회도로와 염성 ~ 용두간 도로를 포함(아산시 신창면 읍내리 ~ 염치읍 곡교리)한 구간으로 노선 변경[27]
- 2019년 12월 30일 : 염성 ~ 용두간 도로(아산시 염치읍 곡교리 ~ 송곡리) 3.44 km 구간 신설 개통, 기존 아산시 신창면 읍내리 ~ 염치읍 석정리 8.2 km 구간 폐지[28]
- 2020년 10월 30일 : 대촌 교차로 남리연결로 준공[29]
2. 1. 충청남도 구간
서산시 해미면 해미 교차로는 국도 제29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중앙로, 내포로), 지방도 제647호선(남문1로)과 연결되는 국도 제45호선의 기점이다.[30][2] 해미 교차로에서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과 중복된다. 잠양 교차로에서 남문2로와 교차하며, 해미 나들목에서 서해안고속도로와 교차한다. 산수 교차로에서는 산수로와 연결되나 상행 진입과 하행 진출은 불가능하다.[30] 산수1교와 산수2교를 지나 대곡 교차로에서 다시 산수로와 연결되지만, 상행 진출과 하행 진입은 불가능하다.[30] 한서대학교 입구는 한서1로와 연결된다.[30][2] 원터 교차로, 송덕암 교차로, 대곡 교차로(대곡1길)를 지나, 해미터널(상행 308m, 하행 426m)을 통과한다.[30][2]예산군 덕산면에 진입하여 덕산터널(상행 210m, 하행 209m)을 지나 광천 교차로, 대치 교차로, 대치1 교차로와 만난다.[30][2] 수덕사 교차로에서 국도 제40호선(수덕사로)과 교차하며, 국도 제40호선과 중복된다.[30][2] 덕산온천 교차로를 지나 신리대교를 건넌다.
삽교읍에서는 송산 교차로에서 국도 제40호선, 지방도 제609호선(도청대로)과 교차한다.[30][2] 안치 교차로와 삽교 교차로에서 충의로와 교차하며, 잿뜰교와 삽다리교를 지난다.[30][2] 이후 충의로와 다시 만나지만 상행 진출과 하행 진입은 불가능하다. 떼말 교차로, 두리 교차로, 방아 교차로를 거쳐 좌방교를 건넌다.[30][2]
오가면에서는 좌방 교차로, 예산세무서, 임성 교차로, 임성중학교, 역탑 교차로, 원천 교차로를 지난다.[30][2] 신원2교를 건너 예산읍에 진입한다.
예산읍에서는 무한천교를 지나 석양 교차로에서 국도 제21호선, 국도 제32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충서로)과 교차한다.[30][2] 국도 제21호선, 국도 제32호선과 중복된다. 관작삼거리, 창소사거리, 점촌삼거리를 지나 간양 교차로에서 국도 제32호선(예당평야로)과 교차한다.[30][2]
아산시 도고면 금산리 교차로에서 지방도 제645호선(아산만로)과 교차하며, 국도 제21호선과 중복된다.[30][2] 금산삼거리, 시전사거리(지방도 제645호선 (도고산로)), 도고온천역, 향산사거리를 지난다.[30][2] 신창면에서는 순천향대학교를 지나 순천향대삼거리에서 지방도 제623호선(순천향로)과 교차하고, 읍내삼거리에서 지방도 제623호선(서부남로)과 다시 만난다.[30][2] 읍내 교차로에서 국도 제21호선, 국도 제39호선(온양순환로, 온천대로)과 교차한다.[30] 읍내교, 신달 교차로, 남성과선교, 수장 교차로, 수장교를 지나 맹사성교에 이른다.
염치읍에서는 곡교 교차로에서 국도 제39호선, 지방도 제624호선(아산로)과 교차하며, 국도 제39호선과 중복된다.[30][2] 음봉천교와 방현천교를 지나 석정 교차로에서 국도 제39호선, 지방도 제624호선(이순신대로)과 다시 교차한다.[30][2] 방수사거리, 방현사거리, 충무유원지, 동정삼거리를 지난다.
음봉면에서는 음봉 교차로에서 지방도 제628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아산온천로, 음봉로)과 교차하며,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과 중복된다.[30][2] 어르목터널(상행 728m, 하행 680m)을 지나 원남 교차로에서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연암율금로)과 교차한다.[30][2]
둔포면에서는 오리골삼거리, 봉재삼거리, 산전사거리 및 신항 교차로(국도 제43호선(세종평택로), 관용로, 해위안길), 관대삼거리, 관대복지사거리, 관터사거리, 관터삼거리를 지난다.[30][2] 둔포 교차로에서 국도 제34호선(장영실로, 충무로)와 교차하며, 국도 제34호선과 중복된다.[30][2] 관대교와 운교교를 지나고 둔포육교(아산밸리남로, 상행 진출 불가)를 거쳐 석근 교차로에서 국도 제34호선(삼사로)과 다시 교차한다.[30][2] 운용 교차로(충무로)와 둔포천교를 지난다.
기존 구간 (2020년 이전 노선)2020년 이전에는 아산시 읍내 교차로에서 남성삼거리, 아산득산농공단지, 득산육교, 신정삼거리, 방축동사거리, 아산교육지원청, 실옥사거리, 시청사거리, 박물관사거리, 온양민속박물관, 충무 교차로, 충무교, 송곡사거리, 석정삼거리를 경유했다.
2. 2. 경기도 구간

국도 제45호선 경기도 구간은 평택시 팽성읍 석근 교차로에서 시작하여 안성시, 용인시, 광주시, 하남시를 거쳐 남양주시 와부읍 팔당대교 나들목까지 이어진다.[30] 이후 국도 제6호선과 중복되어 조안면을 지나 화도읍에서 국도 제46호선과 다시 중복, 가평군 청평면 신청평대교앞 교차로에서 끝난다.
평택시 팽성읍 석근 교차로에서 둔포중앙로와 교차하며, CPX오거리, 송화사거리, 남산삼거리를 지난다. 신궁 교차로에서 국도 제38호선과 만나 중복되며, 안성천1교를 건너 원평동, 고덕면, 세교동, 송탄동을 지난다. 칠원 교차로에서 지방도 제317호선과 교차하고, 청용 교차로에서 만세로와 만난다.
안성시 구간은 원곡면과 양성면을 지나며, 서안성 나들목에서 평택제천고속도로와 교차한다. 칠곡 교차로, 만세터널, 양성터널, 장서 교차로를 거쳐 용인시로 진입한다.
용인시 구간은 처인구 이동읍, 남동, 유림동, 포곡읍, 모현읍을 지난다. 묘봉 교차로에서 국가지원지방도 제82호선과 교차하고, 송전 교차로, 시미 교차로, 덕성 교차로, 원천 교차로를 통과한다. 남리 교차로에서 국도 제42호선과 중복되며, 터미널사거리에서 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과 교차한다. 용인 나들목에서 영동고속도로와 만나고, 포곡 교차로에서 국가지원지방도 제57호선과 교차한다.
광주시 구간은 오포읍, 광남동, 송정동, 남한산성면, 퇴촌면, 남종면을 지난다. 고산 나들목에서 국도 제43호선과 중복되며, 태전 분기점에서 국도 제3호선과 교차한다. 장지 나들목에서 경충대로와 만나고, 벌원 교차로에서 지방도 제338호선과 교차한다. 경기광주 나들목에서 중부고속도로와 만나며, 상번천리사거리에서 국도 제43호선 및 지방도 제342호선과 중복된다. 도마치고개, 도마삼거리를 지나 하남시로 진입한다.
하남시 구간은 천현동을 지나며, 팔당댐 삼거리, 배알미대교, 팔당대교남단 교차로를 거쳐 팔당대교를 통해 남양주시로 이어진다.
남양주시 구간은 와부읍에서 팔당대교 나들목을 통해 국도 제6호선과 중복된다. 팔당1터널부터 팔당4터널, 봉안터널, 봉안대교를 지나 조안 나들목에서 국도 제6호선과 분기된다. 조안면, 화도읍을 지나 금남 나들목에서 국도 제46호선과 중복, 샛터 교차로, 구운교를 지나 가평군 청평면으로 진입한다. 대성 교차로에서 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과 교차하고, 신청평대교앞 교차로에서 국도 제37호선, 지방도 제391호선과 만나며 끝난다.
3. 주요 경유지
wikitext
경기도 구간은 평택시 팽성읍에서 가평군 청평면까지 이어진다.[30]
평택시 팽성읍 둔포천교에서 시작하여, 석근 교차로, CPX 오거리, 송화사거리를 거쳐 안정로와 만나는 평궁삼거리에 이른다. 평궁사거리에서 팽성북로와 평궁길로 연결되고, 신궁 교차로에서 국도 제38호선과 중복된다.[30] 원평동에서 신대육교를 지나 방축사거리에서 방축길 및 동고2길과 연결된다. 고덕면에서는 국도 제38호선과 다시 만나고, 지제 교차로를 지나 세교동에서 국도 제1호선과 교차한다. 송탄동에서는 지방도 제317호선과 만나고, 비전동에서는 만세로와 교차한다.[30]
안성시로 진입하여 원곡면에서 평택제천고속도로와 교차하고, 칠곡 교차로를 거쳐 만세터널과 양성터널을 통과한다. 양성면에서는 양성로와 연결되며, 장서 교차로에서 지방도 제314호선과 만난다.[30]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에서는 국가지원지방도 제82호선과 교차하고, 백옥대로를 따라 여러 교차로를 지난다. 처인구에서는 국도 제42호선과 일부 중복되며, 남북대로와 연결된다. 용인공용버스터미널 인근 터미널사거리에서는 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과 교차하고, 운동장·송담대역을 지난다. 유림동에서는 유림로 및 한터로와 교차하며, 용인 나들목에서 영동고속도로와 연결된다. 처인구 포곡읍에서는 포곡로와 연결되고, 처인구 모현읍에서는 국가지원지방도 제57호선과 교차한다. 모현읍에서는 문현로 및 외대로와 교차한다.[30]
광주시 오포동에서는 국도 제43호선과 중복되며, 광남동에서는 국도 제3호선과 교차한다. 송정동에서는 지방도 제338호선과 교차하고, 광주시청을 지난다. 남한산성면에서는 중부고속도로와 연결되며, 국도 제43호선 및 지방도 제342호선과 중복된다. 퇴촌면에서는 국가지원지방도 제88호선 및 지방도 제342호선과 중복된다.[30]
하남시 천현동에서는 팔당댐 삼거리를 지나 미사대로와 연결되고, 팔당대교를 건너 남양주시로 이어진다.[30]
남양주시 와부읍에서는 국도 제6호선과 중복되며, 여러 터널을 통과한다. 조안면에서는 국도 제6호선과 다시 분기하고, 지방도 제352호선과 연결된다. 조안 나들목에서는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와 연결될 예정이다. 화도읍에서는 국가지원지방도 제86호선 및 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과 중복되고, 국도 제46호선과도 중복된다.[30][4]
가평군 청평면에서는 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과 분기하고, 국도 제37호선, 국도 제46호선, 지방도 제391호선과 중복되며 청평댐입구삼거리에서 끝난다.[30]
3. 1. 충청남도
서산시 해미면에 있는 해미 교차로는 국도 제29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중앙로, 내포로), 지방도 제647호선(남문1로)과 연결되며 국도 제45호선의 기점이다.[30] 해미 교차로에서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과 중복된다. 잠양 교차로에서는 남문2로와 연결되고, 해미 나들목에서는 서해안고속도로와 교차한다. 산수 교차로는 산수로와 연결되지만 상행 진입과 하행 진출은 불가능하다. 산수1교와 산수2교를 지나 대곡 교차로에서는 산수로와 연결되지만, 상행 진출과 하행 진입은 불가능하다. 한서대학교 입구는 한서1로와 연결된다.[2] 원터 교차로, 송덕암 교차로, 대곡 교차로(대곡1길)를 지난다. 해미터널(상행 308m, 하행 426m)은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과 중복 구간이다.[30][2]예산군 덕산면에 있는 덕산터널(상행 210m, 하행 209m)은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과 중복된다. 광천 교차로는 남은들로 및 대치광천길과 연결되고, 대치 교차로는 대치3길, 대치1 교차로는 덕산온천로와 연결된다. 수덕사 교차로는 국도 제40호선(수덕사로)과 연결되며, 국도 제40호선 및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과 중복된다. 덕산온천 교차로는 덕산온천로와 연결된다. 신리대교를 건너 삽교읍으로 진입한다.[30][2]
예산군 삽교읍의 송산 교차로는 국도 제40호선, 지방도 제609호선(도청대로)과 연결된다. 안치 교차로와 삽교 교차로는 충의로와 연결된다. 잿뜰교와 삽다리교를 지나 충의로와 다시 연결되는 지점은 상행 진출과 하행 진입이 불가능하다. 떼말 교차로는 삽교로4길, 두리 교차로는 삽교역로 및 두루머리길, 방아 교차로는 삽교로 및 방아길과 연결된다. 좌방교를 지나 오가면으로 진입한다.[30][2]
예산군 오가면의 좌방 교차로는 좌분양막로와 연결된다. 예산세무서를 지나 임성 교차로는 오신로와, 임성중학교를 지나 역탑 교차로는 오가중앙로 및 역탑한밭길과 연결된다. 원천 교차로는 원천오촌길 및 원천외천길과 연결된다. 신원2교를 지나 예산읍으로 진입한다.[30][2]
예산군 예산읍에서 무한천교를 건넌다. 석양 교차로는 국도 제21호선, 국도 제32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충서로)과 연결되며, 국도 제21호선, 국도 제32호선과 중복된다. 관작삼거리는 신례원로, 창소사거리는 창말로 및 추사로, 점촌삼거리는 신례원로와 연결된다. 간양 교차로는 국도 제32호선(예당평야로)과 연결된다.[30][2]
아산시 도고면의 금산리 교차로는 지방도 제645호선(아산만로)과 연결되며, 국도 제21호선 및 지방도 제645호선과 중복된다. 금산삼거리는 온천대로207번길, 시전사거리는 지방도 제645호선(도고산로)과 연결된다. 도고온천역을 지나 향산사거리는 신통길과 연결된다. 순천향대학교를 지나 신창면으로 진입한다.[30][2]
아산시 신창면의 순천향대삼거리는 지방도 제623호선(순천향로)과 연결되며, 국도 제21호선 및 지방도 제623호선과 중복된다. 읍내삼거리는 지방도 제623호선(서부남로)과 연결된다. 읍내 교차로는 국도 제21호선, 국도 제39호선(온양순환로, 온천대로)과 연결되며 국도 제21호선과 중복된다. 읍내교, 신달 교차로(서부북로), 남성과선교, 수장 교차로(수장로), 수장교를 지난다. 맹사성교를 지나 염치읍으로 진입한다.[30][2]
아산시 염치읍의 곡교 교차로는 국도 제39호선, 지방도 제624호선(아산로)과 연결되며, 국도 제39호선 및 지방도 제624호선과 중복된다. 음봉천교와 방현천교를 지나 석정 교차로(석정교)는 국도 제39호선, 지방도 제624호선(이순신대로)과 연결된다. 방수사거리는 염치로, 방현사거리는 방현동길 및 방현서길과 연결된다. 충무유원지를 지나 동정삼거리는 동정길과 연결된다.[30][2]
아산시 음봉면의 음봉 교차로는 지방도 제628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아산온천로, 음봉로)과 연결되며,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과 중복된다. 어르목터널(상행 728m, 하행 680m)을 지나 원남 교차로는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연암율금로)과 연결된다. 둔포면으로 진입하여 오리골삼거리(충무로1181번길), 봉재삼거리(봉신로), 산전사거리 및 신항 교차로(국도 제43호선(세종평택로), 관용로, 해위안길), 관대삼거리(관대길), 관대복지사거리(해위길), 관터사거리(관대길), 관터삼거리(관대길)를 지난다. 둔포 교차로(둔포교)는 국도 제34호선(장영실로, 충무로)와 연결되며, 국도 제34호선과 중복된다. 관대교와 운교교를 지나고 둔포육교는 아산밸리남로와 연결되나 상행 진출은 불가능하다. 석근 교차로(석근교)는 국도 제34호선(삼사로)과 연결된다. 운용 교차로(운용교)는 충무로와 연결된다. 둔포천교를 지나면 경기도로 이어진다.[30][2]
2020년 이전에는 아산시 읍내 교차로에서 남성삼거리, 아산득산농공단지, 득산육교, 신정삼거리, 방축동사거리, 아산교육지원청, 실옥사거리, 시청사거리, 박물관사거리, 온양민속박물관, 충무 교차로, 충무교, 송곡사거리, 석정삼거리를 경유했다.
3. 2. 경기도
경기도 구간은 평택시 팽성읍에서 가평군 청평면까지 이어진다.[30]
평택시 팽성읍 둔포천교에서 시작하여, 석근 교차로, CPX 오거리, 송화사거리를 거쳐 안정로와 만나는 평궁삼거리에 이른다. 평궁사거리에서 팽성북로와 평궁길로 연결되고, 신궁 교차로에서 국도 제38호선과 중복된다.[30] 원평동에서 신대육교를 지나 방축사거리에서 방축길 및 동고2길과 연결된다. 고덕면에서는 국도 제38호선과 다시 만나고, 지제 교차로를 지나 세교동에서 국도 제1호선과 교차한다. 송탄동에서는 지방도 제317호선과 만나고, 비전동에서는 만세로와 교차한다.[30]
안성시로 진입하여 원곡면에서 평택제천고속도로와 교차하고, 칠곡 교차로를 거쳐 만세터널과 양성터널을 통과한다. 양성면에서는 양성로와 연결되며, 장서 교차로에서 지방도 제314호선과 만난다.[30]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에서는 국가지원지방도 제82호선과 교차하고, 백옥대로를 따라 여러 교차로를 지난다. 처인구에서는 국도 제42호선과 일부 중복되며, 남북대로와 연결된다. 용인공용버스터미널 인근 터미널사거리에서는 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과 교차하고, 운동장·송담대역을 지난다. 유림동에서는 유림로 및 한터로와 교차하며, 용인 나들목에서 영동고속도로와 연결된다. 처인구 포곡읍에서는 포곡로와 연결되고, 처인구 모현읍에서는 국가지원지방도 제57호선과 교차한다. 모현읍에서는 문현로 및 외대로와 교차한다.[30]
광주시 오포동에서는 국도 제43호선과 중복되며, 광남동에서는 국도 제3호선과 교차한다. 송정동에서는 지방도 제338호선과 교차하고, 광주시청을 지난다. 남한산성면에서는 중부고속도로와 연결되며, 국도 제43호선 및 지방도 제342호선과 중복된다. 퇴촌면에서는 국가지원지방도 제88호선 및 지방도 제342호선과 중복된다.[30]
하남시 천현동에서는 팔당댐 삼거리를 지나 미사대로와 연결되고, 팔당대교를 건너 남양주시로 이어진다.[30]
남양주시 와부읍에서는 국도 제6호선과 중복되며, 여러 터널을 통과한다. 조안면에서는 국도 제6호선과 다시 분기하고, 지방도 제352호선과 연결된다. 조안 나들목에서는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와 연결될 예정이다. 화도읍에서는 국가지원지방도 제86호선 및 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과 중복되고, 국도 제46호선과도 중복된다.[30][4]
가평군 청평면에서는 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과 분기하고, 국도 제37호선, 국도 제46호선, 지방도 제391호선과 중복되며 청평댐입구삼거리에서 끝난다.[30]
4. 노선
(■):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
충청남도서산시 해미면에 있는 해미 교차로는 국도 제29호선과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중앙로, 내포로), 지방도 제647호선 (남문1로)이 만나는 국도 제45호선의 기점이다.[30] 해미 교차로에서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과 중복된다. 잠양 교차로에서는 남문2로와 만나고, 서해안고속도로와 만나는 해미 나들목이 있다.[30] 산수 교차로에서는 산수로와 만나는데, 상행 진입과 하행 진출은 불가능하다.[30] 산수1교와 산수2교를 지나 대곡 교차로에서 산수로와 다시 만나지만, 상행 진출과 하행 진입은 불가능하다.[30] 한서대학교 입구는 한서1로와 연결된다.[30] 원터 교차로(대곡원터길), 송덕암 교차로(큰골로), 대곡 교차로(대곡1길)를 지난다.[30] 해미터널은 상행 308m, 하행 426m이다.[30]
예산군 덕산면에 있는 덕산터널은 상행 210m, 하행 209m이다.[30] 광천 교차로(남은들로, 대치광천길), 대치 교차로(대치3길), 대치1 교차로(덕산온천로)를 지나 수덕사가 있는 수덕사 교차로에서 국도 제40호선 (수덕사로)과 교차하며 중복된다.[30] 덕산온천 교차로(덕산온천로)와 신리대교를 지난다.[30] 삽교읍의 송산 교차로에서 국도 제40호선, 지방도 제609호선 (도청대로)과 만나고, 안치 교차로(충의로)와 삽교 교차로(예목로, 충의로)를 거친다.[30] 잿뜰교와 삽다리교를 지나 떼말 교차로(삽교로4길)와 두리 교차로(삽교역로, 두루머리길), 방아 교차로(삽교로, 방아길)를 지난다.[30] 오가면의 좌방 교차로(좌분양막로)를 지나 예산세무서, 임성 교차로(오신로), 임성중학교, 역탑 교차로(오가중앙로, 역탑한밭길), 원천 교차로(원천오촌길, 원천외천길)를 지나 신원2교를 건넌다.[30]
예산읍에 들어서면 무한천교를 건너, 석양 교차로에서 국도 제21호선, 국도 제32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충서로)과 만난다.[30] 관작삼거리(신례원로), 창소사거리(창말로, 추사로), 점촌삼거리(신례원로)를 지나 간양 교차로에서 국도 제32호선 (예당평야로)과 교차한다.[30]
아산시 도고면의 금산리 교차로에서 지방도 제645호선 (아산만로)과 만나고, 금산삼거리(온천대로207번길)와 시전사거리(지방도 제645호선, 도고산로)를 거쳐 도고온천역을 지난다.[30] 신창면의 순천향대학교를 지나 순천향대삼거리에서 지방도 제623호선 (순천향로)과 만난다.[30] 읍내삼거리에서 지방도 제623호선 (서부남로)과 다시 만나고, 읍내 교차로에서 국도 제21호선, 국도 제39호선 (온양순환로, 온천대로)과 교차한다.[30] 신달 교차로(서부북로)와 수장 교차로(수장로)를 지나 맹사성교를 건넌다.[30]
염치읍의 곡교 교차로와 석정 교차로에서 국도 제39호선, 지방도 제624호선 (아산로, 이순신대로)과 만난다.[30] 방수사거리(염치로), 방현사거리(방현동길, 방현서길), 충무유원지, 동정삼거리(동정길)를 지난다.[30] 음봉면의 음봉 교차로에서 지방도 제628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아산온천로, 음봉로)과 만난다.[30] 어르목터널(상행 728m, 하행 680m)과 원남 교차로(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연암율금로)를 지난다.[30] 둔포면의 오리골삼거리(충무로1181번길), 봉재삼거리(봉신로), 산전사거리와 신항 교차로(국도 제43호선 (세종평택로), 관용로, 해위안길), 관대삼거리(관대길), 관대복지사거리(해위길), 관터사거리(관대길), 관터삼거리(관대길)를 지나 둔포 교차로에서 국도 제34호선 (장영실로, 충무로)와 교차한다.[30] 관대교와 운교교, 둔포육교(아산밸리남로)를 지나 석근 교차로에서 국도 제34호선 (삼사로)과 다시 만나고, 운용 교차로(충무로)와 둔포천교를 지난다.[30]
2020년 이전에는 아산시 읍내 교차로에서 남성삼거리, 아산득산농공단지, 득산육교, 신정삼거리, 방축동사거리, 아산교육지원청, 실옥사거리, 시청사거리, 박물관사거리, 온양민속박물관, 충무 교차로, 충무교, 송곡사거리, 석정삼거리를 경유했다.
경기도경기도 구간은 평택시 팽성읍에서 가평군 청평면까지 이어진다. 평택시 팽성읍 석근 교차로에서 둔포천교까지는 충청남도 아산시로 이어지는 구간과 직결된다.
평택시 팽성읍 석근 교차로에서 시작하여, 송화사거리, 평궁사거리를 거쳐 신궁 교차로에서 국도 제38호선(서동대로)과 중복된다.[30][3] 이후 평택시내를 관통하여 지제 교차로, 송탄 교차로(국도 제1호선과 교차), 칠괴 교차로, 동삭 교차로, 칠원 교차로를 거쳐 청용 교차로에서 만세로와 교차한다.[30][3]
안성시로 진입하여 원곡면의 서안성 나들목(평택제천고속도로)과 칠곡 교차로를 지나, 만세터널(연장 1,461m)과 양성터널(연장 400m)을 통과한다.[30][3] 양성면에서는 양성 교차로, 장서 교차로(지방도 제314호선과 교차)를 지난다.[30][3]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으로 진입하여 묘봉 교차로(국가지원지방도 제82호선과 교차), 송전 교차로, 시미 교차로, 덕성 교차로, 원천 교차로(지방도 제318호선과 교차)를 지난다.[30][3] 이후 처인구 시내를 관통하며 남리 교차로에서 국도 제42호선과 중복되었다가 분기하고, 남동사거리, 터미널사거리(용인공용버스터미널), 용인사거리, 운동장·송담대역, 버드실사거리를 거쳐 용인IC입구사거리(용인 나들목, 영동고속도로)에 이른다.[30][3]
처인구 포곡읍에서는 둔전삼거리, 포곡삼거리를 지나고, 모현읍에서는 포곡 교차로(국가지원지방도 제57호선과 교차), 갈담사거리, 외대사거리를 지난다.[30][3]
광주시 오포동으로 진입하여 매산삼거리, 양벌삼거리를 지나 고산 나들목에서 국도 제43호선과 중복된다.[30][3] 이후 광주시내를 관통하며 태전 분기점(국도 제3호선과 교차), 장지 나들목, 벌원 교차로, 광주시청, 송정 교차로를 거쳐 경기광주 나들목(중부고속도로)에 이른다.[30][3] 남한산성면 상번천리사거리에서 국도 제43호선 및 지방도 제342호선과 중복 해제되고, 도마치고개를 넘어 퇴촌면 도마삼거리에서 국가지원지방도 제88호선, 지방도 제342호선과 교차한다.[30][3]
하남시 구간은 팔당댐삼거리, 배알미대교, 팔당대교남단 교차로를 지나 팔당대교를 통해 남양주시로 이어진다.[30][3]
남양주시 구간은 와부읍에서 팔당대교 나들목에서 국도 제6호선과 중복되고, 팔당1터널~팔당4터널, 봉안터널을 통과한다.[30][3] 조안면에서 조안 나들목(국도 제6호선과 분기), 조안면 행정복지센터, 진중삼거리를 거쳐, 건설중인 조안 나들목(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을 지나간다.[30][3] 화도읍에서는 제1금남교, 금남 교차로, 금남 나들목(국도 제46호선과 교차)을 거친다.[30][3]
가평군 청평면에서는 대성3리삼거리, 대성리역, 대성 교차로(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과 교차), 신청평대교앞 교차로(국도 제37호선, 국도 제46호선, 지방도 제391호선과 교차)를 지나 청평댐입구삼거리에서 끝난다.[30][3]
4. 1. 충청남도
서산시 해미면에 있는 해미 교차로는 국도 제29호선과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중앙로, 내포로), 지방도 제647호선 (남문1로)이 만나는 국도 제45호선의 기점이다.[30] 해미 교차로에서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과 중복된다. 잠양 교차로에서는 남문2로와 만나고, 서해안고속도로와 만나는 해미 나들목이 있다.[30] 산수 교차로에서는 산수로와 만나는데, 상행 진입과 하행 진출은 불가능하다.[30] 산수1교와 산수2교를 지나 대곡 교차로에서 산수로와 다시 만나지만, 상행 진출과 하행 진입은 불가능하다.[30] 한서대학교 입구는 한서1로와 연결된다.[30] 원터 교차로(대곡원터길), 송덕암 교차로(큰골로), 대곡 교차로(대곡1길)를 지난다.[30] 해미터널은 상행 308m, 하행 426m이다.[30]예산군 덕산면에 있는 덕산터널은 상행 210m, 하행 209m이다.[30] 광천 교차로(남은들로, 대치광천길), 대치 교차로(대치3길), 대치1 교차로(덕산온천로)를 지나 수덕사가 있는 수덕사 교차로에서 국도 제40호선 (수덕사로)과 교차하며 중복된다.[30] 덕산온천 교차로(덕산온천로)와 신리대교를 지난다.[30] 삽교읍의 송산 교차로에서 국도 제40호선, 지방도 제609호선 (도청대로)과 만나고, 안치 교차로(충의로)와 삽교 교차로(예목로, 충의로)를 거친다.[30] 잿뜰교와 삽다리교를 지나 떼말 교차로(삽교로4길)와 두리 교차로(삽교역로, 두루머리길), 방아 교차로(삽교로, 방아길)를 지난다.[30] 오가면의 좌방 교차로(좌분양막로)를 지나 예산세무서, 임성 교차로(오신로), 임성중학교, 역탑 교차로(오가중앙로, 역탑한밭길), 원천 교차로(원천오촌길, 원천외천길)를 지나 신원2교를 건넌다.[30]
예산읍에 들어서면 무한천교를 건너, 석양 교차로에서 국도 제21호선, 국도 제32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충서로)과 만난다.[30] 관작삼거리(신례원로), 창소사거리(창말로, 추사로), 점촌삼거리(신례원로)를 지나 간양 교차로에서 국도 제32호선 (예당평야로)과 교차한다.[30]
아산시 도고면의 금산리 교차로에서 지방도 제645호선 (아산만로)과 만나고, 금산삼거리(온천대로207번길)와 시전사거리(지방도 제645호선, 도고산로)를 거쳐 도고온천역을 지난다.[30] 신창면의 순천향대학교를 지나 순천향대삼거리에서 지방도 제623호선 (순천향로)과 만난다.[30] 읍내삼거리에서 지방도 제623호선 (서부남로)과 다시 만나고, 읍내 교차로에서 국도 제21호선, 국도 제39호선 (온양순환로, 온천대로)과 교차한다.[30] 신달 교차로(서부북로)와 수장 교차로(수장로)를 지나 맹사성교를 건넌다.[30]
염치읍의 곡교 교차로와 석정 교차로에서 국도 제39호선, 지방도 제624호선 (아산로, 이순신대로)과 만난다.[30] 방수사거리(염치로), 방현사거리(방현동길, 방현서길), 충무유원지, 동정삼거리(동정길)를 지난다.[30] 음봉면의 음봉 교차로에서 지방도 제628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아산온천로, 음봉로)과 만난다.[30] 어르목터널(상행 728m, 하행 680m)과 원남 교차로(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연암율금로)를 지난다.[30] 둔포면의 오리골삼거리(충무로1181번길), 봉재삼거리(봉신로), 산전사거리와 신항 교차로(국도 제43호선 (세종평택로), 관용로, 해위안길), 관대삼거리(관대길), 관대복지사거리(해위길), 관터사거리(관대길), 관터삼거리(관대길)를 지나 둔포 교차로에서 국도 제34호선 (장영실로, 충무로)와 교차한다.[30] 관대교와 운교교, 둔포육교(아산밸리남로)를 지나 석근 교차로에서 국도 제34호선 (삼사로)과 다시 만나고, 운용 교차로(충무로)와 둔포천교를 지난다.[30]
2020년 이전에는 아산시 읍내 교차로에서 남성삼거리, 아산득산농공단지, 득산육교, 신정삼거리, 방축동사거리, 아산교육지원청, 실옥사거리, 시청사거리, 박물관사거리, 온양민속박물관, 충무 교차로, 충무교, 송곡사거리, 석정삼거리를 경유했다.
4. 2. 경기도
경기도 구간은 평택시 팽성읍에서 가평군 청평면까지 이어진다. 평택시 팽성읍 석근 교차로에서 둔포천교까지는 충청남도 아산시로 이어지는 구간과 직결된다.
평택시 팽성읍 석근 교차로에서 시작하여, 송화사거리, 평궁사거리를 거쳐 신궁 교차로에서 국도 제38호선(서동대로)과 중복된다.[30][3] 이후 평택시내를 관통하여 지제 교차로, 송탄 교차로(국도 제1호선과 교차), 칠괴 교차로, 동삭 교차로, 칠원 교차로를 거쳐 청용 교차로에서 만세로와 교차한다.[30][3]
안성시로 진입하여 원곡면의 서안성 나들목(평택제천고속도로)과 칠곡 교차로를 지나, 만세터널(연장 1,461m)과 양성터널(연장 400m)을 통과한다.[30][3] 양성면에서는 양성 교차로, 장서 교차로(지방도 제314호선과 교차)를 지난다.[30][3]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으로 진입하여 묘봉 교차로(국가지원지방도 제82호선과 교차), 송전 교차로, 시미 교차로, 덕성 교차로, 원천 교차로(지방도 제318호선과 교차)를 지난다.[30][3] 이후 처인구 시내를 관통하며 남리 교차로에서 국도 제42호선과 중복되었다가 분기하고, 남동사거리, 터미널사거리(용인공용버스터미널), 용인사거리, 운동장·송담대역, 버드실사거리를 거쳐 용인IC입구사거리(용인 나들목, 영동고속도로)에 이른다.[30][3]
처인구 포곡읍에서는 둔전삼거리, 포곡삼거리를 지나고, 모현읍에서는 포곡 교차로(국가지원지방도 제57호선과 교차), 갈담사거리, 외대사거리를 지난다.[30][3]
광주시 오포동으로 진입하여 매산삼거리, 양벌삼거리를 지나 고산 나들목에서 국도 제43호선과 중복된다.[30][3] 이후 광주시내를 관통하며 태전 분기점(국도 제3호선과 교차), 장지 나들목, 벌원 교차로, 광주시청, 송정 교차로를 거쳐 경기광주 나들목(중부고속도로)에 이른다.[30][3] 남한산성면 상번천리사거리에서 국도 제43호선 및 지방도 제342호선과 중복 해제되고, 도마치고개를 넘어 퇴촌면 도마삼거리에서 국가지원지방도 제88호선, 지방도 제342호선과 교차한다.[30][3]
하남시 구간은 팔당댐삼거리, 배알미대교, 팔당대교남단 교차로를 지나 팔당대교를 통해 남양주시로 이어진다.[30][3]
남양주시 구간은 와부읍에서 팔당대교 나들목에서 국도 제6호선과 중복되고, 팔당1터널~팔당4터널, 봉안터널을 통과한다.[30][3] 조안면에서 조안 나들목(국도 제6호선과 분기), 조안면 행정복지센터, 진중삼거리를 거쳐, 건설중인 조안 나들목(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을 지나간다.[30][3] 화도읍에서는 제1금남교, 금남 교차로, 금남 나들목(국도 제46호선과 교차)을 거친다.[30][3]
가평군 청평면에서는 대성3리삼거리, 대성리역, 대성 교차로(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과 교차), 신청평대교앞 교차로(국도 제37호선, 국도 제46호선, 지방도 제391호선과 교차)를 지나 청평댐입구삼거리에서 끝난다.[30][3]
5. 도로명
wikitext
서산시 해미면 해미 교차로 ~ 잠양 교차로 : 중앙로[2]
서산시 해미면 잠양 교차로 ~ 해미터널 : 한티로[2]
예산군 덕산면 해미터널 ~ 예산읍 석양 교차로 : 윤봉길로[2]
예산군 예산읍 석양 교차로 ~ 간양 교차로 : 충서로[2]
예산군 예산읍 간양 교차로 ~ 아산시 신창면 읍내 교차로 : 온천대로[2]
아산시 신창면 읍내 교차로 ~ 염치읍 석정 교차로 : 온양순환로[2]
아산시 염치읍 석정 교차로 ~ 둔포면 둔포 교차로 : 충무로[2]
아산시 둔포면 둔포 교차로 ~ 둔포천교 : 장영실로[2]
평택시 팽성읍 둔포천교 ~ 신궁 교차로 : 팽성로[3]
평택시 팽성읍 신궁 교차로 ~ 고덕면 고덕 교차로 : 서동대로[3]
평택시 고덕면 고덕 교차로 ~ 용인시 처인구 남리 교차로 : 남북대로[3]
용인시 처인구 남리 교차로 ~ 모현읍 매산교 : 백옥대로[3]
광주시 오포동 매산교 ~ 남한산성면 상번천리삼거리 : 회안대로[3]
광주시 남한산성면 상번천리삼거리 ~ 하남시 천현동 팔당댐삼거리 : 태허정로[3]
하남시 천현동 팔당댐삼거리 ~ 팔당대교남단 교차로 : 미사대로[3]
하남시 천현동 팔당대교남단 교차로 ~ 남양주시 와부읍 팔당대교 나들목 : 창우로[3]
남양주시 와부읍 팔당대교 나들목 ~ 조안면 조안 나들목 : 경강로[3]
남양주시 조안면 조안 나들목 ~ 화도읍 금남 교차로 : 북한강로[3]
남양주시 화도읍 금남 교차로 ~ 샛터 교차로 : 도로명 없음[3][4]
남양주시 화도읍 샛터 교차로 ~ 가평군 청평면 청평댐입구삼거리 : 경춘로[3][4]
5. 1. 충청남도
서산시 해미면 해미 교차로부터 잠양 교차로까지 구간은 중앙로에 속한다.[2] 해미 교차로는 국도 제29호선과 지방도 70호선, 지방도 647호선과 교차하며, 종점이자 지방도 70호선이 중복되는 지점이다.[2] 잠양 교차로에서 해미터널까지는 한티로에 속한다.[2]예산군 덕산면 해미터널에서 예산읍 석양 교차로까지 구간은 윤봉길로에 해당한다.[2] 해미터널은 지방도 70호선이 중복되며, 우측 터널은 약 308m, 좌측 터널은 약 426m이다.[2] 덕산터널 또한 지방도 70호선이 중복되며, 우측 터널은 약 210m, 좌측 터널은 약 209m이다.[2] 광천 교차로, 대치 교차로, 대치1 교차로를 거쳐 수덕사 교차로에서 국도 제40호선과 중복된다.[2] 덕산온천 교차로와 신리대교를 지나 삽교읍에 진입한다.[2]
삽교읍에서는 송산 교차로에서 국도 제40호선과 분기하고, 지방도 609호선과 교차한다.[2] 안치 교차로, 삽교 교차로, 잿뜰교, 삽다리교를 지나 떼말 교차로까지 지방도 70호선이 중복된다.[2] 두리 교차로, 방아 교차로, 좌방교를 지나 오가면에 진입한다.[2]
오가면에서는 좌방 교차로, 예산세무서, 임성 교차로, 임성중학교, 역탑 교차로, 원천 교차로, 신원2교를 거쳐 예산읍에 진입한다.[2]
예산읍에서는 무한천교를 지나 석양 교차로에서 국도 제21호선, 국도 제32호선과 교차하며, 지방도 70호선과도 중복된다.[2] 관작삼거리, 창소사거리, 점촌삼거리를 지나 간양 교차로에서 국도 제32호선과 분기한다.[2]
아산시 도고면 금산리 교차로에서 지방도 645호선과 교차하고, 국도 제21호선과 중복된다.[2] 금산삼거리, 시전사거리를 지나 도고온천역에 이른다.[2] 향산사거리를 지나 신창면으로 진입한다.[2]
신창면에서는 순천향대학교를 지나 순천향대삼거리에서 지방도 623호선과 교차한다.[2] 읍내삼거리에서 지방도 623호선과 분기하고, 읍내 교차로에서 국도 제21호선, 국도 제39호선과 교차한다.[2] 남성삼거리를 지나 온양동으로 진입한다.[2]
온양동에서는 아산득산농공단지, 득산육교, 신정삼거리, 방축동사거리, 아산교육지원청, 실옥사거리, 시청사거리, 박물관사거리, 온양민속박물관을 지난다.[2] 충무 교차로에서 충무교를 건너 염치읍으로 진입한다.[2]
염치읍에서는 송곡사거리, 석정삼거리에서 지방도 624호선과 교차하고, 방수사거리에서 지방도 624호선과 분기한다.[2] 방현사거리, 충무유원지, 동정삼거리를 지나 음봉면으로 진입한다.[2]
음봉면에서는 음봉 교차로에서 지방도 628호선, 지방도 70호선과 교차한다.[2] 어르목터널(우측 약 728m, 좌측 약 680m)을 지나 원남 교차로에서 지방도 70호선과 분기한다.[2] 둔포면으로 진입한다.[2]
둔포면에서는 오리골삼거리, 봉재삼거리, 산전사거리(신항 교차로)에서 국도 제43호선과 교차한다.[2] 관대삼거리, 관대복지사거리, 관터사거리, 관터삼거리를 지나 둔포 교차로에서 국도 제34호선과 교차한다.[2] 석근 교차로에서 국도 제34호선과 분기하고, 운용 교차로, 둔포천교를 지나 경기도로 진입한다.[2]
5. 2. 경기도
평택시 팽성읍 둔포천교에서 신궁 교차로까지 구간은 팽성로에 속한다.[3] 신궁 교차로에서 고덕면 고덕 교차로까지 구간은 국도 38호선과 중첩되며, 서동대로에 속한다.[3] 고덕 교차로에서 용인시 처인구 남리 교차로까지 구간은 남북대로로 이어진다. 남리 교차로에서 모현읍 매산교까지 구간은 백옥대로로 이어진다.[3]광주시 오포동 매산교에서 남한산성면 상번천리삼거리까지 구간은 회안대로에 속하며, 일부 구간이 국도 43호선과 중첩된다.[3] 상번천리삼거리에서 하남시 천현동 팔당댐삼거리까지 구간은 태허정로로 이어진다.[3] 팔당댐삼거리에서 팔당대교남단 교차로까지 구간은 미사대로에 속한다.[3] 팔당대교남단 교차로에서 남양주시 와부읍 팔당대교 나들목까지 구간은 창우로에 속한다.[3] 팔당대교 나들목에서 조안면 조안 나들목까지 구간은 국도 6호선과 중첩되며, 경강로에 속한다.[3] 조안 나들목에서 화도읍 금남 교차로까지 구간은 북한강로로 이어진다.[3] 금남 교차로에서 샛터 교차로까지 구간은 도로명이 없으며, 샛터 교차로에서 가평군 청평면 청평댐입구삼거리까지 구간은 국도 46호선과 중첩되며, 경춘로에 속한다.[3][4]
이름 | 한글 이름 | 연결 | 위치 | 참고 | |
---|---|---|---|---|---|
둔포천교 (Dunpocheon Bridge) | 둔포천교 | 평택시 | 평택시 평성읍 | 충청남도 - 경기도 경계선 | |
석근 교차로 (Seokgeun IS) | 석근 교차로 | 둔포중앙로 (Dunpojungang-ro) | |||
석근 삼거리 (Seokgeun IS) | 석근삼거리 | 계양로 (Gyeyang-ro) | |||
CPX 오거리 (CPX IS) | CPX오거리 | 사거리길, 송화2길 (Sageori-gil, Songhwa 2-gil) | |||
대사 교차로 (Daesa IS) | 대사 교차로 | 송화1길 (Songhwa 1-gil) | |||
송화사거리 (Songhwa IS) | 송화사거리 | 평성송화로, 사거리길 (Paengseongsonghwa-ro, Sageori-gil) | |||
남산삼거리 (Namsan IS) | 남산삼거리 | 안정순환로 (Anjeongsunhwan-ro) | |||
(이름 없음) (No name) | (이름 없음) | 평성남산4길 (Paengseongnamsan 4-gil) | |||
추팔공업단지사거리 (Chupal Industrial Complex IS) | 추팔공업단지사거리 | 송화택지로 (Songhwataekji-ro) | |||
평궁삼거리 (Pyeonggung IS) | 평궁삼거리 | 안정로 (Anjeong-ro) | |||
평궁사거리 (Pyeonggung IS) | 평궁사거리 | 평성북로, 평궁길 (Paengseongbuk-ro, Pyeonggung-gil) | |||
신궁 교차로 (Singung IS) | 신궁 교차로 | 국도 38호선(서동대로), 평성로 (Seodong-daero, Paengseong-ro) | 국도 38호선 중복 구간 | ||
안성천1교 (Anseongcheon 1 Bridge) | 안성천1교 | ||||
원평동 | |||||
신대육교 (Sindae Overpass) | 신대육교 | 평남로, 은실고가길 (Pyeongnam-ro, Eunsilgoga-gil) | |||
방축사거리 (Bangchuk IS) | 방축사거리 | 방축길, 동고2길 (Bangchuk-gil, Donggo 2-gil) | 고덕면 | ||
고덕 교차로 (Godeok IS) | 고덕 교차로 | 국도 38호선(새동대로) (Saedong-daero) | |||
평택국제병원 (Pyeongtaek International Hospital) | 평택국제병원 | ||||
지제 교차로 (Jije IS) | 지제 교차로 | 지제로 (Jije-ro) | 세교동 | ||
송탄 교차로 (Songtan IS) | 송탄 교차로 | 국도 1호선(경기대로) (Gyeonggi-daero) | |||
칠괴 교차로 (Chilgoe IS) | 칠괴 교차로 | 칠괴길 (Chilgoe-gil) | |||
동삭 교차로 (Dongsak IS) | 동삭 교차로 | 지방도 317호선(동삭로) (Dongsak-ro) | 송탄동 | ||
칠원 교차로 (Chilwon IS) | 칠원 교차로 | 새말로 (Saemal-ro) | |||
청용 교차로 (Cheongyong IS) | 청용 교차로 | 지방도 302호선(만세로) (Manse-ro) | 비전동 | ||
청용교 (Cheongyong Bridge) | 청용교 | ||||
안성시 | 안성시 원곡면 | ||||
서안성 나들목 (West Anseong IC) | 서안성 나들목 | 평택제천고속도로 | |||
칠곡 교차로 (Chilgok IS) | 칠곡 교차로 | 만세로, 가월길 (Manse-ro, Garwol-gil) | |||
만세터널 (Manse Tunnel) | 만세터널 | 약 1,461m | |||
안성시 양성면 | |||||
양성터널 (Yangseong Tunnel) | 양성터널 | 약 400m | |||
양성 교차로 (Yangseong IS) | 양성 교차로 | 양성로 (Yangseong-ro) | |||
장서 교차로 (Jangseo IS) | 장서 교차로 | 지방도 314호선(양성로) (Yangseong-ro) | |||
묘봉교 (Myobong Bridge) | 묘봉교 | 용인시 | 처인구 이동읍 | ||
묘봉 교차로 (Myobong IS) | 묘봉 교차로 | 지방도 82호선(경기동로) (Gyeonggidong-ro) | |||
송전 교차로 (Songjeon IS) | 송전 교차로 | 백옥대로 (Baegok-daero) | |||
시미 교차로 (Simi IS) | 시미 교차로 | 백옥대로 (Baegok-daero) | |||
덕성 교차로 (Deokseong IS) | 덕성 교차로 | 백옥대로 (Baegok-daero) | |||
원천 교차로 (Woncheon IS) | 원천 교차로 | 지방도 318호선(백자로), 지방도 84호선 (Baegja-ro, 지방도 84호선) | |||
남리 교차로, 신기마을입구삼거리 (Namro IS, Singima-eul Entrance IS) | 남리 교차로 신기마을입구삼거리 | 백옥대로 (Baegok-daero) | 처인구 | ||
옥현정류장삼거리 (Okhyeon Bus Stop IS) | 옥현정류장삼거리 | 평옥로 (Pyeongok-ro) | |||
용인변전소입구 (Yongin Electrical Substation Entrance) | 용인변전소입구 | 백옥대로 1005번길 (Baegok-daero 1005beon-gil) | |||
남동사거리 (Namdong IS) | 남동사거리 | 명지로 (Myeongji-ro) | |||
태성중학교, 태성고등학교 (Taesung Middle School, Taesung High School) | 태성중학교 태성고등학교 | ||||
롯데마트 삼거리 (Lotte Mart IS) | 롯데마트삼거리 | 백옥대로 1068번길 (Baegok-daero 1068beon-gil) | |||
터미널사거리(용인공용버스터미널) (Terminal IS, Yongin Public Bus Terminal) | 터미널사거리 (용인공용버스터미널) | 국도 42호선, 지방도 98호선(중부대로) (Jungbu-daero) | |||
용인사거리 (Yongin IS) | 용인사거리 | 금령로 (Geumnyeong-ro) | |||
운동장·송담대역 (Stadium–Songdam College station) | 운동장·송담대역 | 금학로 (Geumhak-ro) | |||
스카이주유소삼거리, 무수교삼거리, 무수막정류장 (Sky Gas Station, Musu Bridge IS, Musumak Bus Stop) | 스카이주유소삼거리 무수교삼거리 무수막정류장단일로 | ||||
유림동주민센터 (Yurim-dong Community Center) | 유림동주민센터 | 백옥대로 1313번길 (Baegok-daero 1313beon-gil) | |||
버드실사거리 (Beodeusil IS) | 버드실사거리 | 유림로, 한터로 (Yurim-ro, Hanteo-ro) | |||
유림농협삼거리, 중앙교회삼거리, 방축동삼거리, 용인IC입구삼거리 (Yurim Nonghyup IS, Jungang Church IS, Bangchuk-dong IS, Yongin IC Entrance IS) | 유림농협삼거리 중앙교회삼거리 방축동삼거리 용인IC입구삼거리 | ||||
용인 나들목 (Yongin IC) | 용인 나들목 | 영동고속도로 | |||
경안천교, 둔전삼거리 (Gyeongancheon Bridge, Dunjeon IS) | 경안천교 둔전삼거리 | ||||
포곡삼거리 (Pogok IS) | 포곡삼거리 | 포곡로 (Pogok-ro) | 처인구 포곡읍 | ||
재원빌라앞, 동경주유소사거리, 도사마을사거리 (Jaewon Villa, Donggyeong Gas Station IS, Dosama-eul IS) | 재원빌라앞 동경주유소사거리 도사마을사거리 | ||||
유운리입구삼거리 (Yuun-ri Entrance IS) | 유운리입구삼거리 | 옥현로 (Okhyeon-ro) | |||
태원석재삼거리, 초현교 (Taewon Stone IS, Chohyeon Bridge) | 태원석재삼거리 초현교 | ||||
세영철강삼거리, 산정주유소사거리 (Seyoung Metal IS, Sanjeong Gas Station IS) | 세영철강삼거리 산정주유소사거리 | 처인구 모현읍 | |||
초부리휴게소삼거리 (Choburi Rest Area IS) | 초부리휴게소삼거리 | 초부로 (Chobu-ro) | |||
청광레미콘삼거리 (Chungkwang Concrete IS) | 청광레미콘삼거리 | 갈담로 (Galdam-ro) | |||
갈담사거리 (Galdam IS) | 갈담사거리 | 가월로, 파담로 (Garwol-ro, Padam-ro) | |||
만남주유소사거리, 왕산초등학교삼거리, 모현파출소앞 (Mannam Gas Station IS, Wangsan Elementary School IS, Mohyeon Police Box) | 만남주유소사거리 왕산초등학교삼거리 모현파출소앞 | ||||
외대사거리 (Oedae IS) | 외대사거리 | 문현로, 외대로 (Munhyeon-ro, Oedae-ro) | |||
장전평앞삼거리, 모현삼거리, 모산마을입구삼거리 (Jangjeonpyeongap IS, Mohyeon IS, Mosanma-eul Entrance IS) | 장전평앞삼거리 모현삼거리 모산마을입구삼거리 | ||||
매산교 (Maesan Bridge) | 매산교 | ||||
광주시 | 광주시 오포읍 | ||||
매산삼거리 (Maesan IS) | 매산삼거리 | 매자리길 (Maejari-gil) | |||
대성아파트앞 (Daeseong Apartment) | 대성아파트앞 | ||||
양벌삼거리 (Yangbeol IS) | 양벌삼거리 | 양벌로 (Yangbeol-ro) | |||
양벌대교 (Yangbeol Bridge) | 양벌대교 | ||||
고산 나들목 (Gosan IC) | 고산 나들목 | 국도 43호선(포은대로) (Poeun-daero) | 국도 43호선 중복 구간 | ||
광남고등학교 (Gwangnam High School) | 광남고등학교 | 광남동 | |||
태전 분기점 (Taejeon JCT) | 태전 분기점 | 국도 3호선(성남장호원간 고속도로) (Seongnam-Janghowon Motorway) | |||
신장지삼거리 (Sinjeongji IS) | 신장지삼거리 | 순암로 (Sunam-ro) | |||
장지 나들목 (Jangji IC) | 장지 나들목 | 국도 3호선(경충대로) (Gyeongchung-daero) | |||
탄벌마을앞 (Tanbeolma-eul) | 탄벌마을앞 | 포도리로 (Podori-ro) | 송정동 | ||
벌원 교차로 (Beolwon IS) | 벌원 교차로 | 이배재로, 파발로 (Ibaejae-ro, Pabal-ro) | |||
(송정육교) (Songjeong Overpass) | (송정육교) | 행정타운로 (Haengjeongtaun-ro) | |||
광주시청 (Gwangju City Hall) | 광주시청 | ||||
대주육교 (Daeju Overpass) | 대주육교 | 중앙로 335번길 (Jungang-ro 335beon-gil) | |||
송정 교차로 (Songjeong IS) | 송정 교차로 | 중앙로 (Jungang-ro) | |||
경기광주 나들목(광주IC입구삼거리) (Gyeonggi Gwangju IC, Gwangju IC Entrance IS) | 경기광주 나들목 (광주IC입구삼거리) | 중부고속도로, 해공로 (Haegong-ro) | 남한산성면 | 국도 43호선 중복 구간, 해공로 중부고속도로 연결 | |
상번천리사거리 (Sangbeoncheon-ri IS) | 상번천리사거리 | 국도 43호선, 지방도 342호선(회안대로), 해공로 (Hoean-daero, Haegon-ro) | 국도 43호선 중복 구간, 지방도 342호선 중복 구간 | ||
도마치고개 (Domachigogae) | 도마치고개 | 지방도 342호선 중복 구간 | |||
퇴촌면 | |||||
도마삼거리 (Doma IS) | 도마삼거리 | 지방도 88호선, 지방도 342호선(천진암로) (Cheonjinam-ro) | 지방도 88호선, 342호선 중복 구간 | ||
과학동입구 (Gwahak-dong Entrance) | 과학동입구 | 남종면 | 지방도 88호선 중복 구간 | ||
팔당댐 삼거리 (Paldang Dam IS) | 팔당댐삼거리 | 하남시 | 하남시 천현동 | ||
배알미대교 (Baealmi Bridge) | 배알미대교 | ||||
팔당대교남단 교차로 (South of Paldang Bridge IS) | 팔당대교남단 교차로 | 미사대로 (Misa-daero) | |||
팔당대교 (Paldang Bridge) | 팔당대교 | ||||
남양주시 | 남양주시 와부읍 | ||||
팔당대교 나들목 (Paldang Bridge IS) | 팔당대교 나들목 | 국도 6호선(경강로), 팔당로 (Gyeonggang-ro, Paldang-ro) | 국도 6호선 중복 구간 | ||
팔당1터널 (Paldang 1 Tunnel) | 팔당1터널 | 국도 6호선 중복 구간, 우측 터널: 약 229m, 좌측 터널: 약 260m | |||
팔당2터널 (Paldang 2 Tunnel) | 팔당2터널 | 국도 6호선 중복 구간, 우측 터널: 약 307m, 좌측 터널: 약 297m | |||
남양주시 조안면 | |||||
팔당3터널 (Paldang 3 Tunnel) | 팔당3터널 | 국도 6호선 중복 구간, 우측 터널: 약 169m, 좌측 터널: 약 235m | |||
팔당4터널 (Paldang 4 Tunnel) | 팔당4터널 | 국도 6호선 중복 구간, 우측 터널: 약 420m, 좌측 터널: 약 436m | |||
봉안터널 (Bongan Tunnel) | 봉안터널 | 국도 6호선 중복 구간, 약 762m | |||
봉안대교 (Bongan Bridge) | 봉안대교 | 국도 6호선 중복 구간 | |||
조안 나들목 (Joan IC) | 조안 나들목 | 국도 6호선(경강로), 북한강로 (Gyeonggang-ro, Bukhangang-ro) | |||
조안면사무소 (Joan-myeon Office) | 조안면사무소 | ||||
조안초교입구 (Joan Elementary School Entrance) | 조안초교입구 | 북한강로 229번길 (Bukhangang-ro 229beon-gil) | |||
진중삼거리 (Jinjung IS) | 진중삼거리 | 양수대로 (Yangsu-daero) | 지방도 352호선과 연결 | ||
운길산역 (Ungilsan Station) | 운길산역 | ||||
연세중학교 (Yeonse Middle School) | 연세중학교 | ||||
구봉마을앞 (Gubongma-eul) | 구봉마을앞 | 재재기로 (Jaejaegi-ro) | |||
조안 나들목 (Joan IC) | 조안 나들목 | 수도권 제2순환고속도로 | 고속도로 나들목 건설 중[4] | ||
영화촬영소입구 (Film Studio Entrance) | 영화촬영소입구 | 북한강로 855번길 (Bukhangang-ro 855beon-gil) | |||
백월리입구 (Baekwol-ri Entrance) | 백월리입구 | 북한강로 1115번길 (Bukhangang-ro 1115beon-gil) | 화도읍 | ||
제1금남교 (1st Geumnam Bridge) | 제1금남교 | 지방도 86호선(폭포로), 지방도 98호선 (Pokpo-ro, 지방도 98호선) | 지방도 98호선 중복 구간 | ||
금남초등학교, 양주CC입구 (Geumnam Elementary School, Yangju CC Entrance) | 금남초등학교 양주CC입구 | ||||
금남 교차로 (Geumnam IS) | 금남 교차로 | 북한강로 (Bukhangang-ro) | |||
금남 나들목 (Geumnam IC) | 금남 나들목 | 국도 46호선(경춘북로) (Gyeongchunbuk-ro) | 국도 46호선 중복 구간, 지방도 98호선 중복 구간 | ||
샛터 교차로 (Saetteo IS) | 샛터 교차로 | 경춘로 (Gyeongchun-ro) | |||
구운교 (Guun Bridge) | 구운교 | ||||
가평군 | 가평군 청평면 | ||||
대성3리삼거리 (Daeseong 3-ri IS) | 대성3리삼거리 | 은행나무길 (Eunhaengnamu-gil) | |||
대성초등학교 (Daeseong Elementary School) | 대성초등학교 | ||||
대성리역(대성리 교차로) (Daeseong-ri station, Daeseong-ri IS) | 대성리역 (대성리 교차로) | ||||
관터마을입구 (Gwanteoma-eul Entrance) | 관터마을입구 | 관터길 (Gwanteo-gil) | |||
대성 교차로 (Daeseong IS) | 대성 교차로 | 지방도 98호선(남가로) (Namga-ro) | |||
신청평대교앞 교차로 (Sincheongpyeong Bridge IS) | 신청평대교앞 교차로 | 국도 37호선, 국도 46호선, 지방도 391호선(유명로) (Yumyeong-ro) | 국도 37호선, 국도 46호선 중복 구간, 지방도 391호선 중복 구간 | ||
소돌마을앞 교차로 (Sodolma-eul IS) | 소돌마을앞 교차로 | 소돌말길 (Sodolmal-gil) | |||
신청평1교 (Sincheongpyeong 1 Bridge) | 신청평1교 | ||||
청평댐입구삼거리 (Cheongpyeong Dam Entrance IS) | 청평댐입구삼거리 | 국도 37호선, 국도 46호선(경춘로), 지방도 391호선(호반로) (Gyeongchun-ro, Hoban-ro) | 종점 국도 37호선, 국도 46호선 중복 구간, 지방도 391호선 중복 구간 |
6. 기타
서울양양고속도로와는 교차하지만 접속되지 않아, 북한강반대편의 북한강로를 거쳐 서종 나들목에서 접속된다. 남리 교차로 ~ 마평 교차로 구간도 이 국도의 구간 중 하나이다. 본래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의 능원 교차로까지 이어지는 도로가 건설되어 국가지원지방도 제57호선과 연결될 예정이었으나 사업이 불투명한 상태다.[31]
7. 같이 보기
참조
[1]
법령
대통령령 제10247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81-03-14
[2]
문서
Intersection and interchange are also included, as well as buildings and facilities in the surrounding area
[3]
문서
Intersection and interchange are also included, as well as buildings and facilities in the surrounding area
[4]
뉴스
[단독] 제2외곽 화도~양평 구간 '조안IC' 설치 확정
http://www.gnnews.or[...]
2016-07-22
[5]
법령
대통령령 제10247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81-03-14
[6]
공고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6호
http://theme.archive[...]
1981-04-06
[7]
공고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7호
http://theme.archive[...]
1981-04-16
[8]
공고
건설부고시 제191호
http://theme.archive[...]
1981-05-30
[9]
공고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2호, 제23호
http://theme.archive[...]
1987-07-21
[10]
법령
대통령령 제15101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96-07-01
[11]
공고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7-286호
http://theme.archive[...]
1997-09-20
[12]
공고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8-9호
http://theme.archive[...]
1998-01-14
[13]
공고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8-6호
http://theme.archive[...]
1998-01-14
[14]
공고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9-23호
http://theme.archive[...]
1999-01-19
[15]
공고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9-24호
http://theme.archive[...]
1999-01-19
[16]
공고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0-100호
http://theme.archive[...]
2000-04-11
[17]
공고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3-12호
http://gwanbo.mois.g[...]
2003-02-17
[18]
공고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4-279호
2004-12-30
[19]
공고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4-186호
http://gwanbo.mois.g[...]
2005-01-07
[20]
공고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5-44호
http://gwanbo.mois.g[...]
2005-06-15
[21]
공고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6-194호
2006-12-22
[22]
공고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7-168호
2007-12-17
[23]
공고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7-169호
2007-12-18
[24]
공고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9-52호
http://gwanbo.mois.g[...]
2009-02-26
[25]
공고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9-69호
http://gwanbo.mois.g[...]
2009-07-27
[26]
공고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5-103호
http://gwanbo.mois.g[...]
2015-07-03
[27]
공고
국토교통부고시 제2019-824호
http://gwanbo.mois.g[...]
2019-12-23
[28]
공고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9-181호
http://gwanbo.mois.g[...]
2019-12-26
[29]
공고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고시 제2020-117호
https://gwanbo.mois.[...]
2020-10-30
[30]
문서
교차로와 나들목뿐만 아니라 인근 지역의 건물 및 시설 등도 포함
[31]
뉴스
45번국도, 용인 마평~포곡 9.1km 언제 연결되나
http://www.kyeongin.[...]
2013-04-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